함싸는 법
함이야기 속으로 들어오세요.
함속에 들어갈 내용물, 함싸는 방법도 알고 사용하세요.
전통 혼례와 관습이 사라지고 서구스타일의 결혼식이 보편화 되었지만 최근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는 관습 중 하나가 '함'이다.
'함'은 혼인이 성사된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과 정혼의 뜻이다. 결혼 날짜가 잡히면 신랑 집에서는 결혼식 전날 신부 집으로 신부용 혼서 및 물목을 넣은 혼수함을 보냈는데, 이것이 전통 결혼식의 공식 절차 중 하나로 오늘날 남아있는 납폐이며 함으로 전해진다.
이 납폐함에는 혼약의 표시로 청, 홍색의 채단과 혼서가 들어가는 것이 원칙이나 최근에는 예물, 한복 등을 함께 넣기도 한다.
- 오방주머니
-
오방주머니는 다섯 개의 주머니에 내용물을 홀수로 넣는데 붉은 색 주머니에는 잡귀를 쫓는다는 붉은 팥을 넣어 서남쪽에, 노란색 주머니에는 귀한 신분을 상징하는 노란 콩을 넣어 중앙에, 파란색 주머니에는 인내하며 살라는 뜻으로 찹쌀을 넣어 동북쪽에, 분홍색에는 자손 번식을 의미하는 목화씨를 넣어 서북쪽에, 그리고 연두색 주머니는 절개와 순결을 상징하는 향나무 깎은 것 들을 넣어 동남쪽에 놓는다.
- 청홍채단
-
음을 상징하는 청색 비단을 아래에 놓고 양을 상징하는 홍색 비단을 위에 놓는다. 홍색 비단은 청색한지로 싸고 홍색 명주실로 동심결을 매며, 청색 비단은 홍색 한지로 싸서 청색 명주실로 동심결을 맨다.
- 혼서
-
혼서는 종이를 규격으로 자르고 아홉 칸으로 접어 필묵으로 정성껏 쓰고, 양쪽 끝에서 가운데로 모아 접어 봉투에 넣은 후, 네 귀에 금전지를 단 겹 보자기에 싸서 상,중,하에 근봉을 한다. 혼서는 집안에서 제일 높은 남자 어른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요즘에는 한복업체에서 준비해준다.
- 싸리나무
-
내용물이 흔들리지 않도록 종이에 싸서 가장 나중에 넣는다.
- 포목
-
함을 쌀 때에는 함 바닥에 고운 종이나 한지를 여러 겹 깐 후 혼서를 넣고 무명필과 삼베, 모시를 한 필씩 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