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의궁한복 : 로고

함싸는 법

함이야기 속으로 들어오세요.
함속에 들어갈 내용물, 함싸는 방법도 알고 사용하세요.

전통 혼례와 관습이 사라지고 서구스타일의 결혼식이 보편화 되었지만 최근까지 그 맥을 이어오고 있는 관습 중 하나가 '함'이다.
'함'은 혼인이 성사된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과 정혼의 뜻이다. 결혼 날짜가 잡히면 신랑 집에서는 결혼식 전날 신부 집으로 신부용 혼서 및 물목을 넣은 혼수함을 보냈는데, 이것이 전통 결혼식의 공식 절차 중 하나로 오늘날 남아있는 납폐이며 함으로 전해진다.
이 납폐함에는 혼약의 표시로 청, 홍색의 채단과 혼서가 들어가는 것이 원칙이나 최근에는 예물, 한복 등을 함께 넣기도 한다.

  • 하나,
  • 함보를 깔고 그 위에 함을 올려놓은 다음 함 속에 들어갈 물품을 준비한다.

  • 둘,
  • 함의 바닥에 분홈색 한지를 깔아준다.

  • 셋,
  • 오방주머니를 노란색이 중앙에 오도록하여 네 귀퉁이에 색깔별로 방향을 맞춰놓는다.

  • 넷,
  • 청단은 붉은 간지, 홍단은 청색 간지에 옆이 막히지 않도록 싸고 청단은 청실로 홍단은 홍실로 동심결을 묶어 놓는다.

  • 다섯,
  • 나무받침을 놓고 한지나 보자기로 간지를 깔고 그 위에 혼서지를 넣는다. 혼서지는 혼서지보에 넣어서 풀칠대신 천지인을 뜻하는 3개의 근봉을 한다. 곧고 깨끗하게 다듬은 싸리나무대로 혼서지를 고정 한 후 왼쪽 상단 싸릿대에 쌍 가락지를 묶어 놓은 주머니를 매달아 고정시킨다.

  • 여섯,
  • 내용물을 다 넣으면 함 보자기로 붉은 쪽이 겉으로 오도록 해서 귀를 잘 맞추어 싼다.

  • 일곱,
  • 보자기 끈을 두 번 감아 돌리고 끈은 매지 않고 핀으로 고정한다.

  • 마지막,
  • 함을 싸는 마무리는 혼주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