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의궁한복 : 로고

한복 오래입기

대부분 한복은 행사가 있을 때나 명절에만 입고 주로 보관해 둔다.
따라서 손질 방법만 잘 알아두면 언제나 처음 산 것처럼 깨끗한 상태의 한복을 입을 수 있다.

  • 보관하기
  • 한복은 기복적으로 옷걸이에 걸어두고 보관하지 않는다. 오래 걸어두면 색깔이 바래고 옷 모양이 변형되기 쉽기 때문이다.

    간혹 옷장 위에 두기도 하는데 형광등 불빛으로도 옷감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그늘진 곳에 보관해야한다.

    옷의 구김이 덜 가도록 큼직 큼직하게 접어서 종이 상자에 넣어 두는데 한복을 구입할 때 주는 상자를 버리지 않고 이용하면 된다. 상자 안에 숯이나 방습제 등을 넣어 충해나 습해를 방지하는 것도 좋지만, 실크는 가장 민감한 섬유라 작은 화학변화에도 부분 변색이 될 수 있으므로 나프탈렌이나 물먹는 OO류의 제품은 삼가는 것이 좋다.

  • 남자한복
  • 저고리는 곱게 펴놓고 양 소매를 진동에 접어 포갠 다음 고름 두 짝을 나란히 병풍 접기로 접어서 아랫길을 3분의 2쯤 소매위로 깃이 접히지 않도록 접어 올린다.

    조끼는 등의 중심선을 접어 네 겹이 되도록 한다.

    바지는 두 가랑이의 밑위 선을 꺾어 포개고, 밑아래의 반과 밑위의 반을 접어 중앙으로 포갠다.

    두루마기는 저고리와 같이 펼쳐 놓고 고름 두짝을 가지런히 놓은 다음 진동선을 접어 두 소매를 마주 포개 놓는다.

    소매를 접은 것이 제일 위에 오도록 위에서부터 3단이 되게 접는다.

    대님과 허리띠는 자칫 분실하기 쉬우므로 따로 접어서 남자 한복의 주머니 속에 넣어둔다.

  • 여자한복
  • 저고리는 펼친 뒤에 고름을 두 짝 가지런히 하여 길 위에 옆으로 포개놓고 양쪽 소매를 깃 쪽으로 꺾어 접는다.

    치마는 폭을 네 겹으로 접고 길이를 반으로 접는데, 많은 옷을 눌러 놓으면 모양이 변할 우려가 있으므로 되도록 늘리기 않도록 해야한다.

    바지는 두 가랑이의 밑위 선을 꺾어 포개고, 밑아래의 반과 밑위의 반을 접어 중앙으로 포갠다.

    상자에 넣을 때는 깨끗한 한지를 끼워 서로 다른 색끼리 오염되지 않게 한다.

  • 세탁하기
  • 세탁방법은 소재에 따라 달라지는데 오늘날 예복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견(비단)류는 반드시 세탁소에 맡겨 드라이클리닝을 해야한다.

    합성섬유는 손빨래를 해도 무방하지만 모시난 마 종류는 풀이 빳빳하게 매겨져 있기 때문에 찬물에 담가 풀기를 완전히 뺀후 손으로 직접 살살 비벼서 빤다.

  • 다림질하기
  • 다림질을 할 때는 섶을 양쪽으로 젖혀놓은 후 도련이 겉으로 밀려 나오지 않게 안쪽에서 다리는데 곡선 부분이 늘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치마는 안자락을 먼저 다리고 너무 누르지 않도록 한다.

    동정은 입기 바로 전에 반듯하게 달아야 목선이 아름다워 보인다. 저고리의 겨드랑이 부분에 물수건을 대고 두 세번 다림질을 해주면 랄라도 흉하지 않게 된다.